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남 FC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구단의 2023 시즌에 대한 내용은 경남 FC/2023년 문서
경남 FC/2023년번 문단을
경남 FC/2023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흰색).svg
2024 시즌 참가 구단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height=80><width=25%> 파일:경남 FC 로고.svg
||<width=25%> 파일:김포 FC 엠블럼.svg
||<width=25%> 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width=25%> 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
|| 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 파일:성남 FC 엠블럼.svg
||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 파일:충남 아산 FC 로고.svg
||
|| 파일:안산 그리너스 FC 로고.svg
|| 파일:FC 안양 로고.svg
||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svg
|| 파일:천안 시티 FC 엠블럼.svg
||
|| 파일:충북 청주 FC 엠블럼.svg
||<-3> 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svg[[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흰색).svg ||
||<-2><bgcolor=#001c48> {#ffffff ◀}}} [[파일:K리그1 로고(가로형/흰색).svg ||<-2><bgcolor=#e0002e> 파일:K3리그 로고.svg K3리그 ▶ ||
||<-2><bgcolor=#0067ac> ◀ 2023년 참가 구단 ||<-2><bgcolor=#001c48> 2025년 참가 구단 ▶ ||
||<-2><bgcolor=#104297> FA컵 참가 구단 ||<-2><bgcolor=#444444> 과거 참가 구단 ||





파일:경남 FC 로고.svg
경남 FC
GYEONGNAM FC
정식 명칭경남도민프로축구단
영문 명칭Gyeongnam Football Club
법인명(주)경남도민프로축구단
창단2006년 1월 17일(18주년)
구단 형태도민 구단
소속 리그
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svg
연고지경상남도
홈구장 변천창원종합운동장 (2006~2009 / 27,085석)
양산종합운동장 (2007~2009, 2013~2016, 2018~2019, 2023 / 22,000석)
진주종합경기장 (2010~2019, 2022 / 20,116석)
창원축구센터 (2010~ / 15,071석)
라이벌 - 낙동강 더비
구단주박완수 (경상남도지사)
대표이사지현철
단장진정원
감독설기현
주장우주성
부주장김범용
상징색빨간색, 노란색, 검은색
마스코트파일:경남 FC 마스코트.svg
군함이, 경남이[1]
웹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파일:경남 FC 로고.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우승 기록
K리그2
파일:K_League_Challenge_Trophy.png
(1회)
2017
구단 기록
[ 펼치기 · 접기 ]

최다 출장우주성 - 244출장[1]
최다 득점말컹 - 49득점[2]
최다 도움이광진 - 17도움 [3]
최고 이적료 영입말컹 (Marcao)
(2017년, From 이투아노 FC, 87만 유로[4])
최고 이적료 방출말컹 (Marcao)
(2019년, To 허베이 화샤 싱푸, 530만 유로)

[1] 2023년 9월 20일 기준. 리그, FA컵, ACL 포함[2] 2023년 9월 17일 기준. 리그, FA컵 포함[3] 2023년 9월 17일 기준. 리그, FA컵, ACL 포함[4] 트랜스퍼마르크트 기준
구단 수상
[ 펼치기 · 접기 ]

2006 K리그 공로상
2007 K리그 올해의 베스트팀
2013 K리그 팬 프렌들리 클럽상
2013 K리그 플러스 스타디움상
2018 K리그 플러스 스타디움상

개인 수상
[ 펼치기 · 접기 ]

K리그1 MVP
파일:golden_player.png
(1회)
말컹 (2018 31경기 26득점 5도움)
K리그1 득점왕
파일:golden_shoe.png파일:golden_shoe.png
(2회)
까보레 (2007 25경기 17득점)
말컹 (2018 31경기 26득점)
K리그1 신인상
(1회)
윤빛가람 (2010 24경기 6득점 5도움)
K리그1 베스트 11
(6회)
2회
윤빛가람 (2010, 2011)
1회
까보레 (2007)
네게바 (2018)
최영준 (2018)
말컹 (2018)
K리그2 MVP
파일:silver_player.png
(1회)
말컹 (2017 32경기 22득점 3도움)
K리그2 득점왕
파일:silver_shoe.png
(1회)
말컹 (2017 32경기 22득점)
K리그2 도움왕
파일:silver_ball.png
(1회)
이호석 (2016 27경기 10도움)
K리그2 감독상
(1회)
김종부 (2017 우승, 승격, 24승 7무 5패)
K리그2 베스트 11
(10회)
1회
이범수 (2017)
최재수 (2017)
이반 (2017)
박지수 (2017)
우주성 (2017)
정원진 (2017)
배기종 (2017)
말컹 (2017)
백성동 (2020)
티아고 (2022)
FA컵 득점왕
(1회)
김동찬 (2008 5경기 6득점)

유소년 체계
[ 펼치기 · 접기 ]

18세 이하
(U-15)
진주고등학교
15세 이하
(U-15)
군북중학교
12세 이하
(U-15)
경남 FC U-12


2023 시즌 유니폼
파일:gyeongnamfc-home-14-02-2023.jpg
파일:gyeongnamfc-away-14-02-2023.jpg
파일:gyeongnamfc-homeGK-14-02-2023.jpg
파일:gyeongnamfc-awayGK-14-02-2023.jpg
||
어웨이GK 홈GK 어웨이
||
2023 시즌 스폰서
||
메인 스폰서 용품 스폰서
||
파일:농협 로고.svg파일:BNK경남은행 로고.svg파일:험멜 로고.svg
||

THE POWER OF WE

1. 개요
2. 시즌별 일람
3. 역사
4. 색상 일람
5. 코칭 스태프 명단
6. 선수 명단
7. 응원단
8. 응원가
8.1. 별이 되어
8.2. 승리의 깃발
8.3. 나의 사랑 나의 경남
8.4. 글로리 데이
8.5. 오 나의 사랑
8.6. 경남의 승리
8.7. 이 곳에 우리가 있다
8.8. 완벽한 인생
8.9. 알레 경남
8.10. 글로리 경남FC
8.11. 너를 위해 노래부른다
8.12. 알레 경남(승리송)
8.13. 붉은 노을
9. 서포터즈
10. 홈구장
11. 클럽 하우스
12. 타 구단과의 관계
13. 역대 감독
14. 역대 주장
15. 레전드
16. 각종 타이틀
17. 마스코트
18. 유니폼
19. 사건 사고
20. 여담
21.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230708 경남FC.jpg
2006년에 창단된 경상남도를 연고로 하는 K리그2 소속의 프로축구단이다.

한때 조광래 유치원이라 불리며 리그에 걸출한 신인을 배출해내는 육성형 구단이었으며 현재도 경상남도를 기반으로 훌륭한 유소년 선수 발굴과 육성에 힘쓰고 있다.


2. 시즌별 일람[편집]


파일:경남 FC 로고.svg경남 FC
시즌별 일람
||
시즌리그FA컵ACLCWC
디비전리그순위경기승점
20061부K-리그122675142235-13268강--
2007K-리그52713594232+104416강--
2008K-리그826105113539-435준우승--
2009K-리그728101083832+64016강--
2010K리그62913974134+74816강--
2011K리그830126124140+14232강--
2012K리그844148225060-1050준우승--
2013K리그 클래식1138813174255-13378강--
2014K리그 클래식1138715163052-223632강--
20152부K리그 챌린지9401013173043-13433라운드--
2016K리그 챌린지840186166158+3503라운드--
2017K리그 챌린지13624756936+337916강--
20181부K리그1238181195944+156532강--
2019K리그11138615174361-18338강조별 리그-
20202부K리그2329101184239+3393라운드--
2021K리그26361110154045-54316강--
2022K리그244217916636305616강--
2023K리그2 3616강--


3. 역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경남 FC/역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색상 일람[편집]


파일:경남 FC 로고.svg
경남 FC 색상 일람
색상RALCMYKRGB
RedRAL 3026
(Luminous Bright Red)
C0 M90 Y86 K0 R232 G56 B39
YellowRAL 1026
(Luminous Yellow)
C5 M21 Y88 K0 R255 G212 B4
BlackRAL 9005
(Jet Black)
C0 M13 Y49 K98 R39 G24 B0


5. 코칭 스태프 명단[편집]


직책한글 성명로마자 성명국적생년월일
구단주
(경남지사 겸직)
박완수Park Wan-soo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55년 8월 10일
감독설기현Seol Ki-Hyeo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9년 1월 8일
수석 코치홍준형Hong Jun-Hyu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9년 1월 28일
코치이문선Lee Mun-Su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3년 1월 21일
코치강진규Kang Jin-Kyu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3년 9월 10일
골키퍼 코치강성관Kang Sung-Gwa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7년 11월 6일
피지컬 코치하파엘 카베나기Rafael Cavenaghi파일:브라질 국기.svg1982월 3월 8일
스카우트김영근Kim Young-Geu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8년 10월 12일




6. 선수 명단[편집]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월일신체 조건계약 년도비고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고동민Goh Dong-Min1999년 1월 12일190cm, 83kg2022
3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찬욱Lee Chan-Wook2003년 2월 3일186cm, 79kg2021
4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송홍민Song Hong-Min1996년 2월 7일184cm, 83kg2023
5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김영찬Kim Young-Chan1993년 9월 4일189cm, 84kg2021
7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원기종Won Ki-Jong1996년 1월 6일178cm, 75kg2022
8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이지승Lee Ji-seung1999년 1월 11일181cm, 74kg2022
9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조향기Jo Hyang-Gi1992년 3월 23일188cm, 83kg2023
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권기표Kwon Gi-pyo1997년 6월 26일175cm, 71kg2023
15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우주성Woo Joo-seong1993년 6월 8일183cm, 75kg2014주장
16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이광진Lee Kwang-Jin1991년 7월 23일178cm, 70kg2018
17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재명Lee Jae-myeong1991년 7월 25일182cm, 74kg2018
18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준재Lee Jun-jae2003년 7월 14일180cm, 67kg2022
19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설현진Seol Hyun-Jin2000년 3월 10일180cm, 74kg2021
20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광선Lee Kawng-seon1989년 9월 6일192cm, 89kg2019
21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박민서Park Min-Seo2000년 9월 15일175cm, 69kg2022
23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국진우Kook Jin-woo2003년 9월 6일176cm, 75kg2022
24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서재원Seo Jae-Won2003년 6월 18일179cm, 70kg2021
25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이윤오Lee Yun-Oh1999년 3월 23일190cm, 89kg2023
30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도동현Do Dong-hyun1993년 11월 19일173cm, 68kg2020
3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손정현Son Jeong-hyeon1991년 11월 25일191cm, 88kg2014
33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민기Lee Min-Ki2001년 1월 6일184cm, 70kg2021
34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정현욱Jeong Hyun-Wook2004년 2월 4일188cm, 78kg2023
40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주영Lee Ju-Yeong2004년 4월 25일183cm, 75kg2023
42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유준하Yoo Joon-ha2001년 11월 06일180cm, 75kg2023
50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김종필Kim Jong-Pil1992년 3월 9일180cm, 68kg2019
73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박재환Park Jae-Hwan2000년 10월 11일191cm, 84kg2022
77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박민서Park Min-Seo1998년 6월 30일183cm, 72kg2023
79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이종언Lee Jong-Eon2001년 5월 8일173cm, 65kg2023
87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안호진An Ho-jin2003년 1월 13일189cm, 80kg2022
88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이강희Lee Kang-hee2001년 8월 24일188cm, 73kg2023
95파일:브라질 국기.svgMF카스트로Guilherme Nascimento de Castro1995년 02월 17일165cm, 63kg2022
96파일:브라질 국기.svgFW글레이손Gleyson Garcia de Oliveira1996년 11월 19일188cm, 88kg2023
99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조상준Cho Sang-Jun1999년 7월 11일174cm, 72kg2023
26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이민혁Lee Min-Hyuk2002년 1월 19일177cm, 66kg2023임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김민준Kim Min-Jun2000년 1월 9일187cm, 83kg2021[1]
대표이사: / 감독: 박동혁 / 홈구장: 창원축구센터
출처: 경남 FC 웹 사이트


임대구단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월일신체 조건계약 년도비고
여주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정창용Jung Chang-yong1998년 7월 13일174cm, 69kg20212024년 3월 소집해제
진주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김형원Kim Hyeong-won1999년 2월 2일187cm, 77kg20202024년 3월 소집해제
여주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정충근Jeong Chung-Geun1995년 3월 1일184cm, 73kg20222025년 소집해제
천안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김민준Kim Min-Jun2000년 1월 9일187cm, 83kg2021임대
창원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김태윤Kim Tae-Yun2003년 2월 27일178cm, 67kg2021임대




7. 응원단[편집]


경남 FC 2023 시즌 응원단
장내아나운서손동혁
응원단장이범형
치어리더(루미너스)김나연, 박선주, 이아영, 김희연, 최정희, 한채윤

2019년부터 구성된 응원단이다. 2013년에는 부산 출신 스타급인 김연정 치어리더가 1년을 했지만 끝내 강등과 함께 2년 뒤 K 리그의 명가인 울산 현대로 이적하면서 3년간 응원단의 공백이 있었다. K리그1으로 복귀한 2018년부터 다시 시작했는데 홍재연 치어리더가 맡기도 했다. 2019년부터 같은 창원 연고 야구팀인 NC 다이노스 응원단 출신이자 부산 출신인 송재경 치어리더와 손지해 치어리더를 중심으로 응원전을 진행했다. 2021년에는 삼성 라이온즈 야구 응원단 출신이자 예전 포항 스틸러스에서 응원했던 이수진 치어리더와 권소영 치어리더 그리고 남민정 치어리더를 중심으로 개편되었다. 하지만, 2022년에는 LK ENT 소속이었던 창원 LG 세이커스 응원단인 LG 세이퀸 출신의 이유미 치어리더 팀장과 향후 인기를 얻게 된 이진 치어리더를 중심으로 또 개편되었다. 그 시기 이수진 치어리더 팀장과 남민정 치어리더는 2년만에 친정인 포항 스틸러스로 복귀했으며 해당 멤버들 일부는 경기일정에 맞춰 일찍 포항 스틸러스 스틸하트로 복귀했다. 그 중 남민정 치어리더는 대구경북이 아닌 대전으로 인해 향후 대전 하나 시티즌의 윈퀸즈로 진출하게 된다. 2021년에 응원하게 된 신대권 응원단장은 2022년에 떠난 이후 1년간 응원단장이 공석이다가 2023년에는 2019년부터 NC 다이노스 응원단으로 활약중인 이범형 응원단장으로 교체되었다. 2023년에는 김연정 치어리더와 박재령 치어리더가 중심인 울산 현대 축구단과 김수현 치어리더와 김유나 치어리더가 중심인 대구 FC에서 응원단을 맡고 있는 스카이 치어팀이 다시 맡게 된다. 그 소속 멤버들 중 일부가 복귀 또는 신규 영입을 하게 된다. 롯데 자이언츠에서 치어리더로 알려진 이후 현 NC 다이노스 야구 응원단으로 4년만에 복귀한 박선주 치어리더 팀장과 모델까지 포함해서 대중적 인기를 얻은 이아영 치어리더가 맡게 된다.

8. 응원가[편집]



8.1. 별이 되어[편집]


원곡: 노브레인 - 별이 되어
내가 너의 별이 되어
꿈을 찾는 너의 빛이 될게
내가 너의 별이 되어
언제나 너의 곁에서


8.2. 승리의 깃발[편집]


원곡: 예민 - 아에이오우
위대한 경남 위해
승리의 깃발을 들어라
너와 나 하나 되어
다 함께 노래부르자


8.3. 나의 사랑 나의 경남[편집]


원곡: Los Naufragos - Zapato Roto
나의 사랑 나의 경남
우리들의 모든것
무엇과도 바꿀 수 없어
사랑하는 이 마음


8.4. 글로리 데이[편집]


자작곡
내 피를 끓게 하는 단 한가지
그대와 함께 뛰는 나의 심장
경남과 함께 가는 영광의 길
글로리 데이


8.5. 오 나의 사랑[편집]


자작곡
오 나의 사랑
경-남 경-남
나의 사랑


8.6. 경남의 승리[편집]


자작곡
경남의 승리
우리의 영광
너와 함께
승리의 축배를 들리라


8.7. 이 곳에 우리가 있다[편집]


자작곡
너를 위해 노래한다
사랑하는 경남 나의 자존심
두 손들고 목청 높여 부른다
이 곳에 우리가 있다


8.8. 완벽한 인생[편집]


원곡: Louis Armstrong - When the Saints Go Marching In
여자친구 필요 없어
로또 1등 필요 없어
경남만 오늘 이긴다면
내 인생은 완벽해


8.9. 알레 경남[편집]


자작곡
우리가 나고 자란 이 땅에서
붉은색 장미를 가슴에 꽂고
알레 알레 경남
알레 알레 경남
내 사랑을 모두 주고 싶어~ 오~
바모 바모 경남
바모 바모 경남
두려울 건 없어 다 함께해


8.10. 글로리 경남FC[편집]


글로리 글로리 경남 FC
글로리 글로리 경남 FC
글로리 글로리 경남 FC
경남 G F C


8.11. 너를 위해 노래부른다[편집]


원곡: Beatles - Yellow Submarine
오오오~ 오오오오오
오 오오오~ 오오~(2회 반복)
너를 위해 노래부른다
경남 FC 경남 FC


8.12. 알레 경남(승리송)[편집]


자작곡
알레 알레 알레 경남
알레 알레 알레 경남
알레 알레 알레 경남
오 오오~
(어이! 어이 어이 어이 어이)


8.13. 붉은 노을[편집]


원곡 : 이문세 - 붉은 노을 (remake)
난 너를 사랑해
이 세상은 너 뿐이야
소리쳐 부르지만
저 대답 없는 노을만 붉게 타는데


9. 서포터즈[편집]


파일:THE ROSES UNITED.png
The Roses United라는 이름의 서포터즈가 있다.#
그리고 Aa:V(아브), 라비앙로즈, 오버러버 등의 서포터즈 소모임이 활동하고 있다.


10. 홈구장[편집]


파일:창원축구센터.jpg

경남 FC 홈구장
2010년~
[[창원축구센터|창원축구센터]]


11. 클럽 하우스[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함안클럽하우스#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lubhouse_01.jpg

함안클럽하우스
Haman Club House
위치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261-34
사용 구단경남 FC


12. 타 구단과의 관계[편집]



12.1. 부산 아이파크 - 낙동강 더비[편집]


낙동강 사이를 둔 연고지간의 더비. 창원과 부산의 가까운 거리로 인해 경남 더비로도 부를 수 있으나 낙동강 사이에 1시간 거리 이내로 인해 낙동강 더비로 부르기도 한다. 옛날부터 부산과 경남의 경기를 팬들이 홈구장인 전 부산아시아드경기장 및 현 부산구덕운동장과 전 창원종합운동장과 현 창원축구센터 사이에 낙동강이 있어 불러준 이름이다. 두 팀의 맞대결은 낙동강 상류와 하류를 낀 지역 특성에 있다. 이로 인해 경남권 최대 도시인 부산과 창원에도 모두 K리그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과거에는 PK(부산·경남) 더비라 불리기도 했다.

부산 아이파크는 과거 축구명가인 대우 로얄즈를 인수한 클럽이며 전신 명칭은 2000년부터 2005년까지 부산 아이콘스였다. 그 이전 2002 월드컵으로 인해 창단된 지자체클럽 중 K리그 첫 도민구단인 경남 FC의 창단과 함께 2006 시즌부터 K리그에 참가했다. 부산은 2003 시즌부터 2016 시즌까지 사용했던 부산아시아드경기장과 2016 시즌부터 과거 대우 로얄즈의 홈으로 유명한 부산구덕운동장을 현재의 홈으로 쓰고 있다. 경남은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창원종합운동장을 쓴 이후 경남권 최대 축구전용구장인 창원축구센터가 개장한 이후 2010년부터 현재의 홈으로 쓰고 있다. 2016 시즌을 기준으로 부산 아이파크의 부산구덕운동장과 경남 FC의 창원축구센터는 무려 40km에 불과하다.

2017 K리그 챌린지부터 명칭협약을 맺었다. 당시 K리그 챌린지(K리그2) 소속이었지만 벌칙내기까지 이어졌다.

부산 아이파크 또한 2014 K리그 챌린지에서 대전 시티즌의 승격을 이끌면서 상주 상무의 사상 첫 상위 스플릿을 이끌었던 조진호 감독을 선임하면서 강력한 승격후보로 떠오르게 된다.

맞대결에서 초반 부산이 앞서갔으나 경남이 말컹과 네게바 콤비를 앞세워 단독 선수로 질주하게 된다.

하지만, 경쟁했던 조진호 감독의 심근경색으로 인한 갑작스런 별세로 인해 라이벌이지만 동반자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경남 구단 또한 조진호 감독의 갑작스런 별세로 인해 조의를 표시했다.

결국 2017 K리그 챌린지에서는 부산 아이파크는 승격에 실패했고 경남 FC가 2014 시즌 첫 강등 이후 4년만에 K리그1으로 승격하게 된다. 이후 경남은 창단 최고 성적인 2018 K리그1 2위와 2019 AFC 챔피언스 리그에 창단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했으나 갑작스런 DTD로 인해 2019 시즌 승강 플레이오프에 밀리기도 했다.

2019 K리그2의 2위가 바로 부산 아이파크였는데 K리그2 플레이오프 승자가 되었다. 이로 인해 2년만에 승강을 놓고 승강플레이오프를 치르기도 했다. 2년 전 조진호 감독을 잃은 부산 아이파크는 최윤겸 감독체제로 실패했는데 이후 대우 로얄즈 출신의 조덕제 감독이 추스린 이후 K리그1 복귀를 노리고 있었다. 조진호 감독의 제자였던 이정협호물로 그리고 구단 유스인 이동준김진규는 하늘로 떠난 스승에게 2년 뒤에 한을 풀게 된다. 마침내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5년만에 K리그1에 승격하게 된다.

결국 재강등의 아픔과 함께 김종부 시대를 마감하고 설기현 시대로 접어들었다.

그 시기 부산 또한 2020 시즌 막판 파이널 B에서 2연패와 함께 같이 강등되면서 2021 시즌부터 다시 승격을 놓고 경쟁하게 된다.


12.2. 전남 드래곤즈[편집]


딱히 특별한 라이벌이라거나, 두 팀간 직접적이고 깊은 관계가 있거나 한건 아니지만 근거리 연고에 승격을 놓고 경쟁하면서 생긴 관계다.

경남은 2014 시즌 1차 강등을 당했다.

전남 또한 2018 시즌 강등을 당하게 된다. 그 시기 경남은 구단 최고 성적을 거두게 된다.

하지만, 2019 시즌 2차 강등과 함께 판도가 달라지게 된다.

구단도 두 연고에 섬진강을 놓고 섬진강 더비라 홍보(?)를 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2021 시즌 모두 승격에 실패했으나 전남은 2021 FA컵 우승과 함께 다른 팀이 되었다.

하지만 2022시즌에는 전남이 리그 꼴찌를 하며 다른 의미로 다른 팀이 되었다. 반면 경남은 승격 플레이오프까지 진출했지만 안양에 비기며 탈락했다.


12.3. 광주 FC[편집]


딱히 특별한 라이벌이라거나, 두 팀간 직접적이고 깊은 관계가 있거나 한건 아니지만 너무 관계가 없어서 특별한 사이다. 이 두 팀은 2부 리그 출범 이후 9년동안 단 1시즌도 같은 리그에 소속되어 있던 적이 없었다.


이렇듯 기묘하게도 2년, 3년, 2년의 텀을 주고 광주와 승격 및 강등이 엇갈리는 행보를 보여주고 있었지만, 2021년 경남이 승격에 실패하고 광주가 강등당하게 되면서 오랜 무인연에 마무리를 짓게 됐다. 두 팀이 같은 리그에서 만나는 건 자그마치 10년 만이다. 그러나 2022년 광주가 승격하고 경남이 승격에 실패하며 다시 헤어졌다.


12.4. 창원시청 축구단[편집]


경남 FC가 창단되기 딱 1년전에 창원시에서 창단하여 한국 내셔널리그에 참가하다가, 2020년부터는 새로이 개편된 대한민국 3부 축구리그인 K3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팀이다. 흔히들 사람들이 한국에서 구현 가능한 로컬 더비라고 하면 실제로 리그에서 성사된 적이 있는 수원 삼성 블루윙즈수원 FC간의 수원 더비라거나, 아직 리그에서 실현된 적은 없지만 같은 프로 레벨로써 K리그1K리그2에 참가중인 FC 서울서울 이랜드간의 "서울 더비"를 생각하는데, 사실 그것만이 다가 아니다.

경남이 과거에야 진주시거제시 등등 경상남도 내 여러 지자체들을 돌아다니며 경기를 했지만 2010년대 후반 들어서는 그냥 전부라고 해도 좋을만큼 창원시창원축구센터에서만 홈경기를 치루고 있는데, 같은 연고지인 창원시청 축구단도 당연히 이곳을 홈으로 사용하고 있기에 팀적으로 둘이 리그에서 만날 일은 없지만 경기장 사용 일정을 두고 겹치면 좀 껄끄러운, 뭔가 미묘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과거 경남이 광역연고제를 충실히 따르며 여러 지자체를 돌아다닐때는 창원시 차원에서 자기네 팀인 창원시청에 우선권을 몰아준 때도 있었지만, 현재는 그냥 최대한 둘이 안겹치게 일정을 조율하며 서로 불필요한 감정싸움을 피하고 있는 상태다.

2021년 현재까지 공식 대회에서 이 "창원 더비"가 실현된 것은 딱 한번, 2010년대한축구협회 FA컵 32강에서다. 이 경기에서 경남이 창원시청을 상대로 2:3으로 승리하며, 마지막까지 아슬아슬했던 승부를 펼친 바 있다.

다만 2020년대에 접어든 현재는 경남 FC가 유망주들을 창원시청 축구단에 임대를 보내 성장시켜 다시 돌려받는 등 일종의 지역 선순환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2020년에는 김현중이승엽이 그랬고, 2021년에는 김현중이 임대를 연장하고 김영한이 새로 임대로 합류했다.


13. 역대 감독[편집]


파일:경남 FC 로고.svg경남 FC
역대 감독
||
[ 펼치기 · 접기 ]

초대2대3대
박항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2007)
조광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2010)
감독 대행
김귀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
최진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2013)
감독 대행
송광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
4대5대6대7대
페트코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2013)
이차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감독 대행
브랑코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2014)
박성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
김종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2019)
8대9대파일:경남 FC 워드마크.svg
설기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2023)
박동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 K리그1 우승 / : K리그2 우승 / : FA컵 우승 / :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



경남 FC 역대 감독
국적이름기간
1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항서2006 ~ 2007
2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조광래2008 ~ 2010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귀화2010
3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진한2011 ~ 2013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송광환2013
4대파일:세르비아 국기.svg일리야 페트코비치[2]2013
5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차만2014
대행파일:세르비아 국기.svg브란코 바비치2014[3]
6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성화2015
7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종부2016 ~ 2019[4]
8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설기현[5]2020 ~


14. 역대 주장[편집]


파일:경남 FC 로고.svg경남 FC
역대 주장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rowbgcolor=#e83827> 초대 || 2대 || 3대 || 4대 || 5대 ||
||<width=20%><rowbgcolor=#ffffff,#191919> 김도근
(2006) ||<width=20%> 김효일
(2007) ||<width=20%> 이상홍
(2008~2009) ||<width=20%> 김영우
(2010~2011) ||<width=20%> 정다훤
(2011) ||
||<rowbgcolor=#e83827>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width=20%> 강승조
(2012~2013) ||<width=20%><bgcolor=#ffffff,#191919> 김형범
(2013) ||<width=20%><bgcolor=#ffffff,#191919> 이한샘
(2014) ||<width=20%><bgcolor=#ffffff,#191919> 박주성
(2014) ||<width=20%> 진경선
(2015) ||
||<rowbgcolor=#e83827>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width=20%> 이원재
(2016) ||<width=20%><bgcolor=#ffffff,#191919> 배기종
(2017~2019) ||<width=20%> 하성민
(2020) || 황일수
(2021) || 윌리안
(2022) ||
||<rowbgcolor=#e83827> 16대 || 17대 ||<|2><-3><width=60%><#ffffff> 파일:경남 FC 워드마크.svg ||
||<width=20%> 이광진
(2022) ||<width=20%><bgcolor=#e0ffdb,#073300> 우주성
(2023~ ) ||





15. 레전드[편집]




16. 각종 타이틀[편집]





17. 마스코트[편집]


파일:경남 FC 과거 마스코트 1.jpg

파일:external/ph.idomin.com/211770_166753_3316.jpg

파일:external/www.kfootball.org/46c31379d0ee4459091a32bcb6a5c0df.jpg

파일:997.jpg파일:775.jpg
마스코트
챠뿌, 예뿌

파일:경남FC 마스코트.jpg
모습은 바뀌었지만 군함이가 다시 부활하고 경남이라는 마스코트가 새로 생겼다.


18. 유니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경남 FC/유니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 사건 사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경남 FC/사건사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 여담[편집]















21. 둘러보기[편집]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


파일:K리그1 로고.svgK리그1
과거 참가 구단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height=80><width=25%> 파일:경남 FC 로고.svg
||<width=25%><bgcolor=gray> 파일:광주 상무 불사조 엠블럼.svg
||<width=25%><bgcolor=gray>
파일:국민은행 까치 엠블럼.png
||<width=25%> 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
||<height=80><bgcolor=gray>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bgcolor=gray> 파일:상주 상무 FC 엠블럼.svg
|| 파일:성남 FC 엠블럼.svg
||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
||<height=80>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2014~2021).svg
||<bgcolor=gray>
파일:Chonbuk Bufallo.png
||<bgcolor=gray>
[파일:한일은행 축구단 엠블럼.png
||<bgcolor=gray> 파일:할렐루야 독수리.png
||
||<-5> ※ 해체한 구단은 회색 바탕으로 처리한다. ||
||<-5><bgcolor=#ee2e24> ▲ K리그1 현재 참가 구단 ||
||<-5><bgcolor=#444444> ▽ K리그 과거 참가 구단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19:05:59에 나무위키 경남 FC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설정상 군함이가 2미터, 경남이가 150센티미터다. 단 실제의 인형탈 모습을 보면 알겠지만 마스코트 경남이는 좌우로 땅딸막한 형태다. [2] 구단 최초의 외국인 감독[3] K리그 챌린지 강등.[4] 2017 KEB 하나은행 K리그 챌린지 우승 및 K리그1 승격. K리그2 강등.[5] 구단 최초 비(非) 경남 출신 감독[6] 2010년에 인천 소속이던 유병수가 시도민구단 중 2번째로 받았다.[7] 당시 16개 팀 중 8위까지 상위스플릿[8] 하지만 우승은 하지 못했다. 시도민구단 최초로 FA컵 우승을 한 팀은 2014년 성남 FC였다.(2001년 우승한 대전 시티즌의 경우 시민구단 전환하기 전이었다.)[9] K리그 2 득점왕 배출을 한 적이 있는 대전 대구 상주도 단일리그제 시절 포함해서 아직 K리그 1에 득점왕을 배출한 적이 없다.[10] 전체적으로 보면 2014년 성남 FC와 같은 해(2018년) 대구 FC가 FA컵 우승으로 나간 적 있다.[11] 이 문제 발언이 터지기 전에 서울과 경남은 심우연의 이적에 합의를 본 상태였다. 그러나 경남에 가기 싫었던 것으로 보이는 심우연은 경남에 대해 험담을 했는데 이는 이적거부의사를 은연 중에 표현한 것이라고 봐도 좋다. 이에 경남은 심우연을 영입해봤자 팀 분위기만 흐리겠다고 판단하고 영입을 포기했다.(출처: 포포투 2008년 9월호) 하지만 심우연은 이후 잦은 부상에 시달리며 유망주에서 그저그런 후보 선수로 전락해버려 1군에서는 전혀 찾아 볼 수 없게 되었다.[12] 정확히 말하면 기자들의 농간이지만.[13] 물론 진담이 아닌 농담이다.

관련 문서